IT/All-Day-Algorithms_쫑알쫑알(종일 알고리즘)

[백준]for문 - 15552번 : 빠른 A+B (java)

밍띠이 2019. 1. 15. 19:30
반응형

for문 사용해보기

 *  12 - 15552번: 빠른 A+B 




import java.io.*;
import java.util.*;

public class lv3_12 {
     static StringTokenizer st;
     public static void main(String[] args) throws IOException {
     BufferedReader br = new BufferedReader(new InputStreamReader(System.in));
     BufferedWriter bw = new BufferedWriter(new OutputStreamWriter(System.out));
    
    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
     int t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
     int[] plusArray = new int[t];
    
     for(int i=0; i<t; i++) {
     st = new StringTokenizer(br.readLine());//StringTokenizer인자값에 입력 문자열 넣음
     int a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//첫번째 호출
     int b = Integer.parseInt(st.nextToken());//두번째 호출
    
     plusArray[i] = a+b;
     }
    
     for(int output : plusArray) {
     bw.write(String.valueOf(output));
     bw.newLine();
     }
     bw.flush();//남아있는 데이터를 모두 출력시킴
     }


문제

본격적으로 for문 문제를 풀기 전에 주의해야 할 점이 있다. 입출력 방식이 느리면 여러 줄을 입력받거나 출력할 때 시간초과가 날 수 있다는 점이다.

Java를 사용하고 있다면, Scanner와 System.out.println 대신 BufferedReader와 BufferedWriter를 사용할 수 있다. BufferedWriter.flush는 맨 마지막에 한 번만 하면 된다.

또한 입력과 출력 스트림은 별개이므로, 테스트케이스를 전부 입력받아서 저장한 뒤 전부 출력할 필요는 없다. 테스트케이스를 하나 받은 뒤 하나 출력해도 된다.

자세한 설명 및 다른 언어의 경우는 이 글에 설명되어 있다.

이 블로그 글에서 BOJ의 기타 여러 가지 팁을 볼 수 있다.

입력

첫 줄에 테스트케이스의 개수 T가 주어진다. T는 최대 1,000,000이다. 다음 T줄에는 각각 두 정수 A와 B가 주어진다. A와 B는 1 이상, 1,000 이하이다.

출력

각 테스트케이스마다 A+B를 한 줄에 하나씩 순서대로 출력한다.

예제 입력 1 

5
1 1
12 34
5 500
40 60
1000 1000

예제 출력 1 

2
46
505
100
2000

출처



[풀이]

Scanner와 System.out.println 대신 

BufferedReader와 BufferedWriter를 사용할 수 있다. 

BufferedWriter.flush는 맨 마지막에 한 번만 하면 된다.


BufferedReader

Reader 스트림에 버퍼링기능을 추가한 입력스트림 클래스

일정량을 읽어 버퍼에 저장--


BufferedWriter

: Writer 스트림에 버퍼링기능을 추가한 출력스트림 클래스

일정량을 버퍼에 저장하였다 출력--많은 양에서 활용


BufferedWriter.flush는 맨 마지막에 한 번만

: 남아있는 데이터를 모두 출력

반응형